전체 글37 플라스틱, 미세 플라스틱의 문제와 폐 플라스틱의 재활용 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 코로나19 유행을 기점으로 택배, 배달 등 생활 패턴이 자리잡으며 일회용품 사용과 플라스틱 배출량이 급증했다. 썩지 않는 비닐과 플라스틱은 자연과 인간을 위협하고 있고, 폭염과 폭우, 폭설 등 이상기후 현상도 이제 피부로 체감하는 진짜 '위기'가 됐다. OECD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0년 동안 전세계에서 84억 톤 이상의 플라스틱을 생산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는 양은 20년 전보다 2배 많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으나 플라스틱의 재활용은 전체 생산량의 9%에 불과하여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 등 자연환경으로 유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플라스틱 사용량은 급증하여 폐플라스틱 14.6% 폐비닐 11%가 증가했다. 이렇게 .. 2023. 1. 13. 이상기상, 이상고온 뜻 유럽 알프스 이어 한국도 이상기변 발생 이상기상의 뜻과 전 세계 발생 현황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기온과 강수량을 대상으로 정량적 통계분석에 의한 이상기상의 발생 수와 변화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월평균기온이나 월 강수량이 30년에 1회 정도의 확률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을 "이상기상"이라고 정의하고있다. 이상기상이란 일반적으로 과거에 경험한 기상 상태로부터 크게 차이가 나는 기상현상을 의미하나 이상기상의 정의는 주관성이 어느 정도 포함되게 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또한, 월평균기온이 정규분포인 경우 평균값으로부터 편차가 표준편차의 2배 이상 차이가 있을 때를 ‘이상고온’ 또는 ‘이상저온’이라 하고 월 강수량이 과거 30년간의 어떤 값보다 많을 때를 ‘이상다우’, 적을 때를 ‘이.. 2023. 1. 13. 탄소중립 뜻,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대한상공회의소 탄소 감축 인증센터 설립 탄소중립 이란 ? 기업이나 개인이 활동하면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이산화탄소 흡수량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든다는 개념으로 대기 중으로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만들어 이산화탄소 총량을 0인 중립 상태로 만든다는 뜻이다. 탄소중립은 개인·회사·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것으로,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의 화두가 됐다. 탄소중립을 실행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숲을 조성하여 산소를 공급하거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깨끗한 무공해에너지인 태양열·태양광·풍.. 2023. 1. 12. 유엔환경계획(UNEP) 오존층 구멍 감소 과학결과 발표 1980년대 들어 냉장고, 에어컨 냉매, 스프레이 등에서 나오는 프레온가스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었고, 이후 1989년 ‘오존층 파괴 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를 채택했는데 이는 프레온가스와 같은 오존을 파괴하는 물질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프레온가스 사용량은 99% 감소하며 드디어 훼손된 오존층이 회복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존층에 구멍이 뚫렸다는 발표가 나온 후 세계 각국이 ‘프레온가스’ 같은 오존 파괴 물질의 사용을 줄이며 나타난 결과다. 1992년 한국에서도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한 특정물질의 제조규제 등에 관한 법률인 오존층 보호법을 시행하여 2010년 프레온가스 사용을 전면 금지했으며 프레온가스는 수소불화탄소인 HFC 등으로 대체됐다. 오존층은 지표면으로부터 10~5.. 2023. 1. 11.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