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슈퍼버그(슈퍼박테리아)가 위험요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항생제내성을 조용한 팬데믹이라고 규정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지난 2020년부터 COVID19 코로나를 겪으며 슈퍼버그를 겪은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오늘은 무시무시한 코로나와 같은 슈퍼버그에 대해 알아보고 슈퍼버그와 기후변화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슈퍼버그란 무엇인가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를 포함한 약물들에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곰팡이를 말하며 주요 항생제들에 대해 내성을 가진 사람에게 감염되는 박테리아를 슈퍼버그라고 말합니다. 항생제 내성은 내성을 일으키는 유전자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유전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박테리아가 항생제 조건에서 생존을 위한 진화를 하며 생성됩니다. 내성균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항생제 남용입니다.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가 선택조건으로 작용하면 내성균만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에 항생제는 임의적으로 사용하거나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
슈퍼버그와 기후변화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슈퍼버그에 대비하기'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는 균들의 항생제 내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강하게 만드는데 특히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세균의 증식속도,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미생물 사이 확산 속도 증가 등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보고서를 썼던 데이비드 그레이엄 교수는 기후가 극단적으로 따뜻하게 변한다면 슈퍼버그는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지도록 진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가 일어나고, 인구 과밀, 위생불량 등의 결과 역시 슈퍼버그가 더욱 내성이 강해지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미국 예일대 의과대학의 감염병 전문가는 기후변화, 오염, 날씨 패턴의 변화, 더 많은 비, 도시 밀도의 증가 등은 항생제 내성의 확산을 촉진시킨다며 우리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슈퍼버그의 확산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퍼버그가 확산할 경우 인류가 가벼운 감염병도 치료하기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슈퍼박테리아 사망자 숫자가 2016년에는 70만 명 수준이었지만 2019년에는 약 127만 명으로 급격히 증가하며 누적 사망자 수가 500만 명이 발생했습니다. 별다른 조치 없이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2050년에는 누적 사망자 수가 천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경고했습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2030년까지 최소 3조 4천억 달러 규모의 세계 GDP 감소를 초래하여 2400만 명의 사람을 빈곤에 몰아넣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엔환경계획 집행 이사는 환경악화를 부르는 요인들이 항생제 내성 문제도 심각하게 만들고 있으며 항균제 저항성 문제는 우리의 건강과 식량 체계를 파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슈퍼버그를 다룬 책
보이지 않는 적과의 전쟁, 슈퍼버그에 다룬 책을 쓴 맷 매카시는 코넬 의과대학 조교수, 의사이며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입니다. 그가 이 책에서 다룬 내용은 슈퍼버그 슈퍼 박테리아의 출현으로 전 세계의 많은 사람이 기존의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었던 질병이 치료가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신체에 심각한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더욱 심각한 문제는 질병이 발현하는 속도보다 신약을 개발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균이 진화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신약을 개발하는 도중에 슈퍼버그가 등장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신약 개발에 성공한다고 해도 약효가 없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익성이 좋지 않거나 투자금액이 너무 없거나 적으면 연구자들의 개발순위에서도 밀리게 되어 개발이 늦춰지게 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나와 있듯 후원단체들과 대학교 등과 협력하여 신약 개발이 지속해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의 내용에 많은 전문용어와 연구들에 대해 나오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끝맺으며
맨 위 서론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우리는 코로나바이러스를 겪으며 백신을 맞아도 변이되는 바이러스로 인해 현재까지도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겪어오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난 3년 동안 겪었던 코로나바이러스는 바이러스류에 속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을 실제로 겪으면서 세계 경제가 무너지며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현재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슈퍼버그가 발생하면 치료제가 없기에 우리는 또 이러한 삶을 겪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정말 생각만 해도 끔찍하네요. 항생제 신약 개발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이 질병으로부터 안전하길 기대해 봅니다.
'자연과 함께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스티로폼 뽁뽁이 분리수거로 환경보호 실천하기 (0) | 2023.02.17 |
---|---|
매마른 소금호수, 그레이트 솔트레이크 (0) | 2023.02.16 |
탄소를 제거하는 핵심 탄소포집기술 CCUS (0) | 2023.02.14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소재 대나무 (0) | 2023.02.13 |
갑각류로 만드는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0) | 2023.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