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과 함께살기37

2023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 조건 방법 국가 지원 사업 중 하나인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는 임신하고 있거나 출산 후 아이를 키우고 있는 산모들에게 지원해주는 혜택입니다. 임신 중이신 분들은 꼭 알아야 하는 정보겠죠? 오늘은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를 언제 어디에서 신청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조건 1. 시범지역 내 주소지를 두고 있어야 합니다. 2. 2021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여야 합니다. 3. 신청일 기준 임산부여야 합니다. 신청 가능 지역 경북 김천시와 경기도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022년에서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지역이 많았으나 2023년 기준으로 국비에 반영이 되지 않아 지자체의 자체적인 예산이나 여건 등에 따라서 일부 지역에서만 추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모든.. 2023. 2. 6.
지구온난화와 살충제로 실종된 꿀벌들 이대로 괜찮을까? 전국 78억 마리의 꿀벌들이 월동 중 집단으로 사라졌습니다. 꿀벌의 실종사건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은 최근 40%가 사라졌으며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30~40%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2035년에는 꿀벌이 완전히 멸종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 가을 충청권에서 겨울잠에 들어간 꿀벌 중 절반 이상이 사라진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몇 년째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는 피해 규모가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국 양봉 업계는 현재 정부와 각 지자체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며 오는 14일 꿀벌 집단 폐사에 대한 피해 대책을 요구하는 첫 집단행동을 예고했습니다. 꿀벌의 실종 원인은 무엇일까? 첫 번째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미친것으로.. 2023. 2. 3.
혹등고래의 죽음 친환경 풍력발전이 원인일까? 미국에서 연이은 혹등고래의 죽음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1월 30일 뉴욕주 나소 카운티 해변에서 몸길이 10m에 달하는 혹등고래의 사체가 발견되었는데 혹등고래의 죽음이 풍력 발전 때문이라는 의견이 주장이 나오며 환경단체와 정치권까지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고래의 사체가 다시 바다에 휩쓸리지 않도록 해변 위쪽으로 이동시켜 사망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부검을 진행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뿐 아니라 지난 2개월 동안 뉴욕, 뉴저지등의 미 동부 해안가 모래사장으로 떠밀려왔다가 바다로 돌아가지 못한 10마리의 고래 사체가 발견되었습니다. 기후 위기에 맞서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로 해상풍력발전이 필요한 가운데 고래의 떼죽음이 풍력발전이 원인일까요? 국립해양대기국 .. 2023. 2. 1.
영화 '웨이스트 랜드' 쓰레기를 예술로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웨이스트 랜드'의 중심에 있는 빅 무니즈는 브라질 출신의 유명한 사진작가로 독특한 작품을 만듭니다. 그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모자이크 작품을 만들고 그 모자이크 작품을 사진으로 찍어 판매하는 예술가인 동시에 작가입니다. 그는 어느 날 쓰레기를 소재로 예술을 재현하겠다는 결심을 하고 출발했는데 많은 고민을 통해 단순히 쓰레기를 수집해 작품을 만드는 것이 아닌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사람들과 함께 작품을 만드는 2년 동안의 과정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브라질의 세계 최대 규모의 쓰레기 매립지인 '자르딤 그라마초'. 이곳엔 7000톤의 쓰레기가 지는데, 이곳엔 브라질의 극 빈곤층인 '카타도르'가 몰려와 오물더미에서 재활용 쓰레기를 골라내며 주변의 빈민가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브라질의 화려한 .. 2023. 1. 30.